top of page

안질환클리닉

당뇨망막증

01. 당뇨망막증이란
 

전 세계 당뇨 인구는 2억 명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남자 12.27%, 여자 11.49% 정도로 보았을 때 60세 이상 5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당뇨병이 많아지면서 합병증이 생기고 미세혈관 손상으로 눈, 콩팥, 신경에 이상이 나타납니다. 
눈의 합병증을 당뇨망막증이라고 합니다. 당뇨 진단을 받은 분의 36.1%에서 당뇨망막증 진단이 나오며 통계적으로 당뇨환자의 10%가 실명하니, 당뇨합병증은 무서운 질환이라 볼 수 있습니다.

02. 당뇨망막증이 오는 이유
 

- 비증식성 당뇨망막증 (NPDR)
  고혈당으로 인한 모세 혈관의 변화 / 미세혈관의 폐쇄 / 혈관내피세포증식인자 분비 때문입니다.

  모세혈관 투과율 증가로 출혈, 삼출물 증가 / 망막 부종이 오는데, 이를 비증식성 당뇨망막증(NPDR)이라 합니다.

- 증식성 당뇨망막증 (PDR)
  혈관 증식인자로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생성되면 증식성 당뇨망막증(PDR)이라 합니다.

  점차 진행되어 유리체 출혈로 섬유 증식이 발생되면 망막을 당겨 망막박리가 발생합니다.

03. 당뇨망막증 관리
 

1. 혈당의 철저한 관리
인슐린 치료로 당뇨망막증이 억제되지 않으며 오히려 악화된다는 보고가 있지만 무엇보다 혈당관리가 제일 중요합니다. 아울러 고혈압, 고지혈증 조절을 해야 하는데 고혈압은 당뇨망막증의 악화 인자입니다.

2. 진행을 억제하는 유일한 치료는 : 레이저 치료 (Panretinal Photocoagulation)
황반부종을 유발하는 미세혈관류를 레이저로 3회 이상 치료하면 시력상실 가능성을 반으로 줄이며, 미세혈관이 폐쇄된 망막 허혈 부위를 광응고하면 증식성 망막증에 의한 실명은 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알곤레이저가 있는 안과에서만 가능합니다.
서울안과는 최신 알곤레이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3. 증식성 당뇨망막증의 경우 유리체절제술 실시

4. 유리 체강 내 트리 암실론 주사 (IVTI)
항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ANTI-VEGF ANTIBODY) 아바스틴, 루센티스 주사

bottom of page